반응형
우선주 VS 보통주 다른 차이점은? (feat. 스튜어드십 코드)
[우선주]
종목 이름 중에 뒤에 '우'가 붙은 것을 본 적 있나요? (ex. 삼성전자우)여기서 '우'라는 글자는 바로 '우선주'를 의미한답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을 더 받을 수 있는데요. 삼성전자를 주식을 예로 이야기해보자면 삼성전자 우선주는 삼성전자 보통주보다 주가가 15%나 더 저렴(2020.08 기준임)한데요. 그럼에도 배당액은 똑같답니다. 그말인즉슨, 더 저렴한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으면서도 배당은 똑같이 받는다는 건데요. 그럼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좋은 거 아니냐고요? 우선주가 갖지 못하는 것도 있답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어요.
[보통주]
보통주는 뒤에 아무글자도 붙어있지 않답니다. 그냥 삼성전자라고 쓰여 있어요. 보통주는 의결권을 가질 수 있는데요. 단 1주만 가지고 있어도 의결권을 가질 수 있답니다.(좀 놀랍지 않나요?) 의결권이 있으면 주주총회 안건에 대해 표를 행사할 수 있답니다.
의결권과 관련하여 스튜어드십 코드라는 게 있는데 짧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D
* 스튜어드십 코드란?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ex.국민연금, 자산운용사 등)가 기업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는 행동원칙입니다. 아시다시피 기관투자자는 많은 사람들의 자금을 모아서 투자를 합니다. 그런 만큼 돈을 맡긴 투자자들의 권리를 위해 기관투자자도 적극적인 책임을 다해야겠죠. 이런 행동지침이라도 있어야 기관투자자가 좀 더 투자자들을 위한 행동, 투자자들을 위한 의결권 행사를 하겠죠.
반응형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주 / 중형주 / 소형주 → 나누는 기준이 무엇일까? (feat. 시가총액) (0) | 2021.08.17 |
---|---|
코스피 VS 코스닥 뭐가 달라요? (차이점) (0) | 2021.08.16 |
[쉬운 설명] 해외주식 거래하기 & 시차 문제 & 환율 문제 (+총정리) (0) | 2021.08.13 |
[쉬운 설명] 공모주 투자 쪽박차지 않으려면 반드시 기억할 것! (3가지) (0) | 2021.08.13 |
[쉬운 설명] 공모주 가격 결정은 누가하나요? (feat. 기관투자자) (0) | 2021.08.13 |
댓글